파머의 라이브러리

반응형

들어가며

 1. 본 글은 2015년 12월에 타 블로그에 저장용으로 올렸던 글을 가져와 약간 수정한 글입니다.

 2. 글 작성 당시 PC의 OS는 Windows 8.1이었으며, 2020년 현재에는 되는지 확인해보지 않았습니다.

 3. 해당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Windows 7 이상의 운영체제가 필요합니다.

 4. 사용할 PC 혹은 노트북에 무선 랜 카드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.

    (사용하시는 컴퓨터가 와이파이를 잡아서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라면 무선 랜카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입니다.)

5. 해당 글은 이더넷 케이블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무선 네트워크 즉 와이파이의 형태로 만들어주는 방법에 대한 글입니다.

 

STEP 1

 우선 사용하는 컴퓨터가 무선 네트워크(이하 와이파이)를 만들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

 

 시작버튼을 눌러 cmd를 입력 후,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.

 

 화면에

netsh wlan show drivers 를 입력합니다.

 엔터를 누르면 여러 내용이 출력되는데, 그 중에 "호스트된 네트워크 지원" 항목에서 "예"가 나오면 해당 컴퓨터로 핫스팟을 만드는 것이 가능합니다.

 

 

STEP 2

 와이파이를 만드는게 가능한 환경이라면 노트북에 들어오는 유선 네트워크를 와이파이로 만들어주기 위하여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.

netsh wlan set hostednetwork mode=allow ssid="사용할 네트워크의 이름" key="사용할 네트워크의 패스워드"

(큰따음표는 입력하지 않습니다.)

 

방금 만들어준 와이파이를 시작해주기 위하여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.

netsh wlan start hostednetwork

 

 

STEP 3

제어판에서 "네트워크 연결" 메뉴로 들어갑니다.

제어판에 네트워크 연결에 보면 해당 네트워크가 추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
 

추가된 네트워크가 아닌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우클릭하여 "속성"-"공유"로 들어갑니다.

 

 해당 메뉴에서 "다른 네트워크 사용자가 이 컴퓨터의 인터넷 연결을 통해 연결할 수 있도록 허용" 항목을 체크합니다.

하단에 있는 "홈 네트워킹 연결" 텍스트 박스에는 방금 만든 와이파이의 네트워크 이름을 입력합니다.

(디바이스마다 상이할 수 있음)

 

완료

설정이 완료되어 방금 만든 와이파이가 모바일 장치에서 접속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반응형

이 글을 공유합시다

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